불필요한 객체 생성은 피하자
똑같은 기능의 객체를 매번 생성하기 보다는 객체 하나를 재사용하는 편이 당연히 좋다. 특히 불변 객체로 만들어진 객체라면 언제든지 재사용 할 수 있다.
불변 객체는 대표적으로 우리가 자주쓰는 String 객체가 있다.
3개의 String을 만드는 코드가 있다.
String newString = new String("new String"); // 1
String justString = "just String"; // 2
String anotherJustString = "just String";; //3
위에 예제에서 몇 개의 String 객체가 만들어 질까?
정답은 총 2개의 String 객체가 만들어진다. newString에 의해 생긴 String은 바로 Heap 메모리에 올라가고, justString과 anotherJustString은 Heap 메모리에 있는 String Constant Pool이 관리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anotherJustString 객체를 만들 때, String Pool에서 “just String”이라는 객체가 이미 있는지 확인해서, 있으면 그 객체를 재활용 한다.
그와 반대로, newString은 Heap에 새로운 객체를 올리기 때문에, 사용 후 바로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또 다른 예로 Boolean(String) 생성자 대신 Boolean.valueOf(String)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게 되면, Boolean 클래스가 미리 만들어논 객체를 리턴하기 때문에, 객체를 추가적으로 만들지 않아도 된다.
Boolean.java
public final class Boolean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Comparable<Boolean>
{
// 정적 변수로 미리 초기화를 해놓는다.
public static final Boolean TRUE = new Boolean(true);
public static final Boolean FALSE = new Boolean(false);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String s) {
return parseBoolean(s) ? TRUE : FALSE; //이미 만들어져 있는 객체를 리턴한다.
}
}
또한 정규식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String.matches() 메소드를 예를 들어보자.
다음은 주어진 문자열이 유효한 로마 숫자인지를 확인하는 메서드이다.
String.matches()
static boolean isRemanNumeral(String s) {
return s.matches("^(?=.)M*(C[MD]D?C{0,3})"
+ "(X[CL]|L?X{0,3})(I[XV|V?I{0,3}])$")
}
s.matches()가 실행될 때, 내부적으로 Pattern 클래스를 만들며, 만들어진 이 Pattern 클래스는 한 번만 쓰고 가비지컬렉션의 대상이 된다.
Pattern 객체의 생성 비용은, 입력받은 정규표현식에 해당하는 유한 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을 만들기 때문에 생성 비용이 높은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하는 정규식을 가진 Pattern 클래스를 만들어서 캐싱해서 객체를 계속 재활용 하는 방법이 있다.
Pattern 객체를 재활용해서 성능 개선
public class RomanNumerals {
private static final Pattern ROMAN = Pattern.compile(
"^(?=.)M*(C[MD]D?C{0,3})"
+ "(X[CL]|L?X{0,3})(I[XV|V?I{0,3}])$");
static boolean isRomanNumerla(String s) {
return ROMAN.matcher(s).matches();
}
}
이렇게 해서 성능이 1.1 -> 0.17로 6.5배정도 성능향상이 있었다.
또한 정규식에 이름을 지어줌으로써 더 명확한 코드가 되었다.
또 다른 예로, 오토박싱을 들 수 있다.
오토박싱에 의해 불필요한 객체 생성
private static long sum() {
Long sum = 0L;
for (long i = 0; i <= Integer.MAX_VALUE; i++)
sum += i;
return sum;
}
위에 예제는 Long 타입의 sum에 long 타입인 i가 더해질 때마다 불필요한 Long이 생성된다.
박싱된 기본 타입보다는 기본타입을 사용하고, 의도치 않은 오토박싱이 숨어들지 않도록 주의하자.
그리고 아주 무거운 객체가 아니라면 객체 생성을 피하고자 커스텀하게 객체 풀(pool)을 만들지는 말자. 물론 데이터베이스 연결 같은 경우 생성 비용이 워낙 비싸니까 재활용하는 편이 낫지만, 일반적으로 자체 객체 풀은 코드를 헷갈리게 만들고 메모리 사용량을 늘리고 성능을 떨어뜨린다. 요즘 JVM의 가비지 컬렉터는 상당히 잘 최적화되어서 가벼운 객체용을 다룰 때는 직접 만든 객체 풀보다 훨씬 빠르다.
참고자료
https://stackoverrun.com/ko/q/339287